성인 절반이 종교를 떠난 한국, 왜 사람들은 교회, 신앙을 떠나는가?

익숙했던 교회 풍경, 이제는 추억이 되다

주일마다 온 가족이 함께 교회에 가던 풍경이 있었습니다.
교회 예배당에 울려 퍼지던 찬양 소리, 예배 후 함께 나누던 식사와 교제는 신앙이 단지 종교가 아니라 삶의 중심이었음을 보여주었습니다.

그러나 이제는 많은 이들이 교회를 떠나고 있습니다. 자녀 세대는 더 이상 부모 세대의 신앙을 자연스럽게 이어받지 않습니다. 기도하자는 말도 가정에서 점점 사라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변화는 한국만의 문제가 아닙니다. 전 세계적으로 신앙은 점점 뒤로 밀려나고 있습니다.

퓨 리서치센터

퓨 리서치센터의 최신 보고서가 말해주는 것

2025년 3월 26일, 퓨 리서치센터는 36개국, 약 8만 명을 대상으로 한 조사 결과를 발표했습니다.
보고서에 따르면 많은 사람들이 어린 시절의 종교를 떠나고 있으며, 기독교와 불교에서 이탈하는 비율이 특히 높게 나타났습니다.

  • 한국: 성인 중 50%가 종교를 바꿨다고 응답 (세계 1위)
  • 미국: 약 35%가 어린 시절과 다른 종교를 믿거나 무종교 상태

특히 미국에서는 2007년 기독교 인구가 전체의 78%였던 반면, 2023년에는 62%로 감소했습니다.
반면, 무종교인의 비율은 같은 기간 동안 16%에서 29%로 증가했습니다.

퓨 리서치센터

사람들이 교회, 종교를 떠나는 5가지 이유

1. 산업화와 도시화로 인한 공동체 해체

도시로 이동하며 기존의 신앙 공동체를 떠난 많은 사람들은 새로운 환경에서 신앙을 유지하기 어려웠습니다.
특히 빠르게 근대화된 한국에서는 이 문제가 더욱 심각하게 나타납니다.

2. 다종교 사회에서의 신앙 선택의 자유

한국은 다양한 종교가 공존하는 사회입니다. 특정 종교에 대한 강한 사회적 압박이 없기 때문에, 사람들은 종교를 자유롭게 떠나거나 옮기게 됩니다.

3. 교회 종교 지도자에 대한 불신

종교 지도자들의 비리, 권위주의, 정치적 개입은 신앙 공동체 전체에 대한 신뢰를 무너뜨렸습니다.
이로 인해 많은 신자들이 실망하고 교회를 떠났습니다.

4. 개인주의 확산과 자유에 대한 욕구

현대인은 공동체보다 개인의 자유를 더 중시합니다. 젊은 세대일수록 “종교가 꼭 필요한가?”라는 질문을 스스로에게 던지며, 신앙을 떠나는 경우가 많습니다.

5. 정보 접근성과 교육의 영향

다양한 철학과 사상, 심리학에 쉽게 접근할 수 있는 시대가 되면서, 종교적 설명보다 더 설득력 있게 느껴지는 지식들이 신앙을 대체하게 되었습니다.

그러나 모든 사람이 교회, 신앙을 떠나는 것은 아닙니다

흥미로운 점은 무종교 상태에서 다시 신앙으로 돌아오는 사람들도 있다는 사실입니다.

  • 한국: 무종교였다가 기독교로 돌아온 사람 6% (조사 대상국 중 1위)
  • 미국: 일부 무종교인들이 다시 기독교 공동체로 복귀 중

이들은 대개 삶의 위기나 고난, 상실, 외로움 속에서 신앙의 의미를 다시 찾게 됩니다.

“나는 왜 살아가는가?”
“죽음 이후에는 무엇이 있는가?”
“나를 진심으로 이해하고 받아줄 존재가 있는가?”

이러한 질문은 신앙으로 향하는 통로가 됩니다.

교회는 무엇을 잃었는가?

우리는 단지 “왜 사람들이 교회를 떠나는가?”를 묻는 데 그쳐서는 안 됩니다.
이제는 “왜 사람들은 교회에 머물고 싶어하지 않는가?”라는 질문을 던져야 합니다.

교회는 진정한 복음을 잃고, 공동체의 따뜻함을 잃었는지도 모릅니다.
그 결과, 신앙은 형식적인 종교로만 비춰지고 있습니다.

신앙을 다시 세우기 위한 방향

진정한 신앙은 출석률이 아니라, 삶으로 증명되는 복음입니다.
예수님처럼 사람을 품고, 함께 살아가는 공동체를 만드는 것이 교회의 본질입니다.

사랑과 회복의 공간으로 교회가 다시 자리매김할 때,
세상은 다시금 신앙의 문을 두드릴 것입니다.